[사설] 언론인 윤리는 어디로

2018년 10월 10일, 조선일보 홈페이지에 본교의 노쇼 의혹을 다룬 ‘연고전 마지막날 치킨집 노쇼… 고대생 600명이 분노’라는 제목의 기사가 게재됐다. 이와 더불어 조선일보는 해시태그로 ‘노쇼 비매너’를 설정하며 간접적인 비판의 의사까지 내비쳤다. 기사가 게재되자 많은 네티즌들은 분노했고 본교 커뮤니티에서 예약 부도자를 찾기 위한 논의가 탄력을 받는 등 문제의 공론화가 이뤄졌다. 그 후 실상은 예약 부도가 아닌 고연전 마지막날 2주 전에 이뤄진 정상적인 예약 취소였음이 밝혀졌으나 공론화에 촉매제가 된 조선일보는 아직도 해당 기사를 정정하지 않고 있다.

한국기자협회는 공정하고 정확한 보도에 관한 윤리강령을 제정해 기자로서의 직업윤리를 요구한다. 언론은 독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여론을 형성하기에 그에 부합하는 의무도 져야한다는 이유에서다. 반면 최근 많은 언론은 온라인 마녀사냥에 동조하며 거짓 정보를 제공하는 행태를 보인다. 별도의 취재 없이 SNS의 글과 피해 점주의 인터뷰만 참고한 본교 노쇼 의혹 기사가 그랬으며, 버스 기사를 아이만 내린 채 출발해 엄마와 생이별하게 만든 가해자로 만든 240번 버스 사건이 그랬다. 보도의 신속성을 위해 사실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취재를 생략하고 쓴 기사를 타 언론에서 그대로 기사화해 재생산까지 하니 SNS상의 의혹이 마치 사실인 양 독자에게 수용되고 이는 비합리적인 비난으로 이어진다.

물론, 의혹이 되는 내용을 신속히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것도 언론의 중요한 덕목이다. 하지만 보도의 정확성은 신속성을 위해 희생돼야 할 대상이 아니다. SNS 목격담을 그대로 기사화한 언론이나, 이를 그대로 수용하여 속보에만 열을 올리는 언론은 그들의 사회적 책임을 재고해야 한다. 이른바 ‘아님 말고’ 식 기사가 지속적으로 작성되고 배포된다면 이는 엄격한 언론윤리를 따라야 하는 기자 집단의 근본적인 정체성에 타격을 줄 것이다. 속도 경쟁보다는 잘못된 보도의 심각성을 깨달아야 할 때다.

.

error: Content is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