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비 절약은 무조건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가 출시된 지 2달이 다 돼간다. 기후동행카드는 기존의 교통 정기권에 비해 편의성이 향상돼 많은 인기를 끌고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출시 초기에는 실물카드 품절 대란이 일며 정가의 몇 배 가격으로 중고 거래가 이뤄지기도 했다. 그러나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경기도민의 접근성이 제한되는 등의 문제점도 드러나고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장단점과 타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 The HOANS에서 파악해 봤다.

대중교통이 무제한?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일부 광역버스 ▲서울메트로에서 운영하는 지하철을 월 6만 2,000원으로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서울시의 교통 정기권이다. 3,000원을 추가하면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도 함께 이용 가능하다.

이용자들은 기후동행카드가 교통비 절약에 효과적이라고 평가한다. 이들은 평균적으로 교통비를 월 3만 원가량 아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에 따르면 기후동행카드 판매 첫날인 1월 23일부터 약 한 달간 누적 판매량은 46만 2,000장에 달한다.

다만 불편함도 존재한다. 안드로이드 휴대폰 이용자라면 단말기에 내장된 NFC 기능을 활용해 모바일로 승하차 태그를 할 수 있지만, 그 외의 경우엔 3,000원짜리 실물카드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실물카드는 어플 충전이 아닌 현금 충전만 가능하다는 단점도 안고 있다.

서울·경기도 동행 없는 기후동행카드

모든 노선에서 이용할 수 없다는 점은 기후동행카드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힌다. 현재 ▲신분당선 ▲서울지역 외 지하철 ▲광역버스 등 서울과 경기도를 잇는 대부분 노선은 기후동행카드로 이용할 수 없다. 서울로 통근·통학하는 경기도민은 2020년 기준 약 125만 명이다. 이들이 이용하는 노선이 포함되지 않은 기후동행카드는 반쪽짜리 지원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는다.

기후동행카드의 실효성을 높이려면 경기도의 참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기도는 기후동행카드의 참여를 시군의 자율적 판단에 맡긴 상황이다. 서울시는 “경기도의 비협조로 도민이 혜택에서 배제된다”고 언급하자 경기도는 이를 일축하며 공방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도는 오는 5월 국토교통부의 ‘K-패스’와 연계된 ‘The 경기패스’ 시행을 앞뒀다. The 경기패스는 ▲광역버스 ▲신분당선 ▲광역급행철도(GTX) 등을 모두 이용할 수 있고 환급 방식이라 매달 충전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기후동행카드와 The 경기패스가 따로 존재하는 상황에서 서울시와 경기도 사이의 긴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교통비 더 아낄 수 있는 방법은?

기후동행카드와 별개로 국토교통부는 환급형 마일리지 시스템의 알뜰교통카드 사업을 시행해 왔다. 알뜰교통카드는 거리별 마일리지 방식으로 한 달 이용 후에 일정 비율만큼 환급받을 수 있다. 5월부터는 알뜰교통카드 대신 K-패스 사업을 시행할 예정이다.

K-패스는 알뜰교통카드의 아쉬움을 보완하고자 기존 거리형 마일리지 기반 적립을 금액 기반으로 변경했다. 요금 환급률은 기본 20%이며 청년은 30%, 저소득층이면 최대 53%까지 가능하다. 알뜰교통카드와 마찬가지로 환급 시 최소 사용 제한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월간 15번 이상 카드를 이용해야 하며 최대 60번까지 환급 혜택이 적용된다.

일반 교통카드 이용자를 기준으로 교통비가 월 7만 7,500원이 넘는 경우는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다. 그렇지 않다면 금액 기반 환급을 진행하는 K-패스가 더 경제적이다. 청년 이용자의 경우엔 기후동행카드가 월 7만 8,571원 이상부터 유리하다. K-패스는 기후동행카드와 달리 전국 지자체 229곳 가운데 189곳에서 광범위하게 운영될 예정이다.

경제적 교통비 활용을 위해선

서울시는 지난달 21일부터 청년(1989~2005년생) 대상으로 기후동행카드 7천 원 환급 정책을 시범운영하고 있다. 청년 이용자가 이용자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기후동행카드 대란은 이어질 전망이다. 정치적으로 이용된다는 논란이 일고 있으나, 경기도 및 인천 지역으로도 확대가 된다면 많은 이용자에게 경제적일 것이다. 하반기에는 또다시 지하철 요금 150원 인상이 예정돼 있어 학우들 모두 교통비 절약을 위한 현명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임재원·인형진 기자

kb111511@korea.ac.kr

 

.

error: Content is protected !!